Windows와 달리 Linux에서는 파일 압축과 파일 묶기가 원칙적으론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실행되지만,

파일 묶기 명령어인 tar 명령어를 사용하면 옵션을 사용해 파일 압축을 한 번에 할 수 있다.


tar 사용법

tar [옵션] [압축된 파일명 혹은 압축할 파일이나 폴더명]


옵션

c(소문자): 새로운 묶음을 만든다.

x: 묶인 파일을 푼다.

t: 묶음을 풀기 전에 묶인 경로를 보여준다.

C(대문자): 묶음을 지정된 디렉터리에 푼다.


f(필수): 파일 이름 지정

v: 파일이 묶이거나 풀리는 과정을 보여준다.(생략 가능)

J(대문자): tar + xz (xz 압축 혹은 압축 해제)

z: tar + gzip (gzip 압축 혹은 압축 해제)

j(소문자): tar + bzip2 (bzip2 압축 혹은 압축 해제)


ex)

압축 + 파일 묶기 : tar -czvf filename.tar.gz /etc/systemd/

압축 해제 + 파일 풀기 : tar -xzvf filename.tar.gz / tar -xjvf filename.tar.bz2

apt-get 명령어 Ubuntu 운영체제의 패키지 관리 명령어로써,

Ubuntu에서 제공하는 deb 파일 Repository에서 설치할 deb 파일은 물론이고 해당 파일과 의존성이 있는 

다른 deb 파일까지 인터넷을 통해 모두 설치해준다.

(Repository의 URL은 /etc/apt/sources.list 파일에 저장되어 있음)


* Package란?

데비안 리눅스에서 Windows의 setup.exe와 비슷하게 프로그램 설치 후 바로 실행할 수 있게 제작한 실행 파일로, 확장명은 *.deb이다.



apt-get의 기본 사용법


패키지 설치

apt-get [옵션] install [패키지이름]

'-y' 옵션: 사용자에게 yes/no를 묻는 부분에서 무조건 yes를 입력한 것으로 간주함

'--reinstall' 옵션: 재설치


패키지 리스트의 업데이트

apt-get update

실제로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,

업그레이드가 필요한 패키지와 Repository에 새로 추가된 리스트를 업데이트 해준다.


설치된 패키지 업그레이드

apt-get [옵션] upgrade

설치되어 있는 패키지를 모두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

(의존성 검사하며 업그레이드: apt-get dist-upgrade)


패키지 삭제

apt-get [옵션] remove [패키지이름]

'--purge' 옵션: 설정파일까지 함께 제거


패키지 소스코드 다운로드

apt-get source [패키지이름]


패키지 소스코드 빌드

apt-get build-dep [패키지이름]

소스코드를 의존성있게 빌드

'Ubuntu > 명령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Ubuntu 파일 및 디렉터리의 허가권과 소유권  (0) 2017.10.25
vi 에디터 명령어 정리  (0) 2017.10.25
Ubuntu 압축 풀기 - tar 명령어  (0) 2017.10.16

AWS EC2 인스턴스의 Port를 추가적으로 열어주었다.


먼저, https://aws.amazon.com/ko/ 에 접속하여 내 계정에서 AWS Management Console을 선택


EC2 선택. 이 때 지역 Seoul로 되어있어야 한다. (보통 기본으로 Seoul로 되어있는데 왜인지 Ohio로 되어있어 바꿔주었다.)


Instance 선택


인스턴스 목록창의 스크롤을 맨 오른쪽으로 한 후 Port를 열고자 하는 인스턴스의 Security Groups 선택


Inbound를 누르면 Port 목록이 나온다. Edit 선택.


Add Rule을 선택 후 Type과 Port Range, Source를 원하는 대로 선택하고 Save.


+ Recent posts